소식
제주곶자왈공유화재단의 최근 소식과 활동을 알려드립니다. 

보도자료


[20190307] 곶자왈공유화재단, 곶자왈 내 사업장 실태조사 결과 발표

2019-03-07

곶자왈공유화재단, 곶자왈 내 사업장 실태조사 결과 발표

 

 

 곶자왈공유화재단(이사장 김국주)은 지난 해 4월부터 11월까지 도내 곶자왈 속에 위치해 있는 사업장에 대해서 실태조사를 실시했으며, 조사 결과 보고서를 발표했다. 127개 사업장 현황과 면적, 사업 유형별 분류, 상수도 허가량, 하수 처리 현황 등을 보고서에 담았다.

 


 조사결과에 따르면 제주도 전체 곶자왈 지대 내에는 127개 사업장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지대별로는 안덕 곶자왈 내 13개소, 저지-청수 곶자왈 내 27개소, 애월 곶자왈 내 6개소, 수산·상도 곶자왈 내 13개소로 파악되었다. 특히, 교래·선흘 지역에 사업장이 68개소로 가장 높은 비율의 면적을 차지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교래·선흘 지역에는 오래 전부터 관광시설과 채석장 등 곶자왈 이용으로 성행했기 때문이다.

 

 사업장을 유형별로 분류하면 박물관, 승마장 등 관광지 20개소, 골프장, 대규모 숙박시설 등 관광리조트 7개소, 공장용지 16개소, 토석채취용 채석장 6개소 등으로 나타났다.

 

 사업장 시설 설치 및 운영으로 인한 곶자왈 훼손 면적은 약 30%로, 전체 곶자왈 면적 99.5㎢ 중 29.4㎢에 해당된다.

 

 사업장 내 지하수 허가량은 월평균 242,000톤이고, 수도관 연결 상수도는 월평균 132,000톤으로 조사되었다.

 

 하수관거 연결된 곳으로는 사업장 92개소 중 66개소는 자체처리하고, 21개소는 하수관거에 연결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김국주 재단 이사장은 “이미 운영 중에 있는 곶자왈 내부의 사업장 시설은 곶자왈과 지하수 보전에 매우 중요하므로 앞으로도 주기적으로 시설 조사와 점검을 통해 지하수 오염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조사는 코오롱인더스트리Fnc의 연구지원금을 후원 받아 그 중 일부 기금을 통해 추진되었다. 

 



고유번호. 616-82-20355   이사장. 김범훈   주소.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조천읍 남조로 2023 (교래자연휴양림 내 제주곶자왈공유화재단)

전화번호. 064-783-6047 / 064-784-6047   FAX. 064-783-6048   Email. jawaltrust@naver.com 

곶자왈생태체험관. 070-4543-2373 (매주 월요일 휴관)

Copyright ⓒ 2025 제주곶자왈공유화재단 All rights reserved. 

admin